idp.co.kr 향리의 신분적 지위 > idp4428 | idp.co.kr report

향리의 신분적 지위 > idp442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idp4428

향리의 신분적 지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7 08:19

본문




Download : 향리의 신분적 지위.hwp





향리의 신분적 지위향리의신분적지위[1] , 향리의 신분적 지위법학행정레포트 ,





설명
순서

향리의신분적지위[1]


향리의 신분적 지위


⑴ 조선 초 향리의 지위 형성
향리가 출현한 것은 고려시대부터였으므로 향리 계층의 지위 형성과정을 파악하기 위해서 우선 고려시대 향리의 등장에 대해 먼저 알아볼 필요가 있다
고려 성종 2년에 12목에 官을 파견하고 호족을 지방행정 실무자인 향리로 격하시켰다. 고려 建國初에서 成宗朝까지 고려의 지배 계급은 개국공신 계열, 호족 계열, 신라 6두품 계열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개국공신 계열은 광종대에 이르러 芟除되었고 6두품 계열과 호족 계열이 고려초기 지배계급의 주류를 이루고 있었으나 두 계열중에서 광범한 영향력을 끼치는 호족 계열, 즉 향리집단이 양반관료의 공급원이 되었다.
그 후 催氏 政權下에서와 元 支配下에서 특히 많은 향리들이 과거를 통하여 양반으로 상승하였는데 양반수가 늘어나게 되자 양반 내부의 관직 경쟁이 치열해지고 고려 말에 이르러 첨설직 남발로 양반층이 팽창하게 되자 조선왕조 집권자들은 사회 신분의 재편성을 단행하였는데 良人擴大와 支配 身分의 兩分化가 대표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省略)
레포트/법학행정


Download : 향리의 신분적 지위.hwp( 74 )



향리의%20신분적%20지위_hwp_01.gif 향리의%20신분적%20지위_hwp_02.gif 향리의%20신분적%20지위_hwp_03.gif 향리의%20신분적%20지위_hwp_04.gif 향리의%20신분적%20지위_hwp_05.gif


,법학행정,레포트


향리의 신분적 지위

다. 양반이 된 향리들은 科擧나 蔭職 등을 통해 계속 관직을 받아 양반가문을 형성하였고 그에 반해 양반으로 상승하지 못한 향리들은 계속 향리 가문으로 뒤쳐져 있게 되었다.
고려시대 향리 중에서도 科擧나 吏職을 거쳐 양반관료가 되는 축들은 주로 戶長層을 비롯한 향리의 상층부에 속하는 사람들이었다.
전체 7,63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idp.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