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조사와 어미의 구분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 / 조사와 어미의 구분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7 18:19본문
Download : [인문] 조사와 어미의 구분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hwp
그리고 정열모 등은 종합주의를 제창했다. . 각 주장에 대한 근거와 문제가되는점 우리말에서는 자립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문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요소로 조사와 어미를 들 수 있따 조사와 어미를 모두 품사로 인정한 견해를 analysis(분석) 주의라고 하며, 대표적인 논의는 주시경(1908)에 의해 이뤄졌다...
Download : [인문] 조사와 어미의 구분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hwp( 32 )
다. 주시경 등의 analysis(분석) 주의에서는 조사와 어미에 각각의 독립된 품사를 부여함으로써 교착어인 한국어의 속성 에 맞는 체계를 갖추어 조사와 어미의 의미나 기능적 중요성에 주목하게 하였다. 이들은 조사와 어미가 자립성이 없으며, 체언과 어간은 각기 조사와 어미 없이는 의미를 온전히 드러내지 못한다는 점에서 조사와 어미를 품사의 범주에서 제외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조사와 어미의 구분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조사와 어미를 품...
인문 조사와 어미의 구분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 / 조사와 어미의 구분의
설명
순서
조사와 어미의 구분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조사와 어미를 품...
![[인문] 조사와 어미의 구분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1157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C%A1%B0%EC%82%AC%EC%99%80%20%EC%96%B4%EB%AF%B8%EC%9D%98%20%EA%B5%AC%EB%B6%84%EC%9D%98%20%EC%B0%AC%EB%B0%98%20%EA%B2%AC%ED%95%B4%EC%97%90%20%EB%8C%80%ED%95%9C%20%EA%B7%BC%EA%B1%B0-1157_01.gif)
![[인문] 조사와 어미의 구분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1157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C%A1%B0%EC%82%AC%EC%99%80%20%EC%96%B4%EB%AF%B8%EC%9D%98%20%EA%B5%AC%EB%B6%84%EC%9D%98%20%EC%B0%AC%EB%B0%98%20%EA%B2%AC%ED%95%B4%EC%97%90%20%EB%8C%80%ED%95%9C%20%EA%B7%BC%EA%B1%B0-1157_02_.gif)
![[인문] 조사와 어미의 구분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1157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C%A1%B0%EC%82%AC%EC%99%80%20%EC%96%B4%EB%AF%B8%EC%9D%98%20%EA%B5%AC%EB%B6%84%EC%9D%98%20%EC%B0%AC%EB%B0%98%20%EA%B2%AC%ED%95%B4%EC%97%90%20%EB%8C%80%ED%95%9C%20%EA%B7%BC%EA%B1%B0-1157_03_.gif)
![[인문] 조사와 어미의 구분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1157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904/%5B%EC%9D%B8%EB%AC%B8%5D%20%EC%A1%B0%EC%82%AC%EC%99%80%20%EC%96%B4%EB%AF%B8%EC%9D%98%20%EA%B5%AC%EB%B6%84%EC%9D%98%20%EC%B0%AC%EB%B0%98%20%EA%B2%AC%ED%95%B4%EC%97%90%20%EB%8C%80%ED%95%9C%20%EA%B7%BC%EA%B1%B0-1157_04_.gif)

[인문] 조사와 어미의 구분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 / 조사와 어미의 구분의
조사와 어미의 구분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조사와 어미를 품사에 넣을 것인지 말 것인지를 둘러싸고 많은 학자들의 논의가 이어졌다.. 논의 課題의 중요성 현재 학교문법의 품사 분류는 최현배의 opinion을 따라 절충주의를 취하고 있따 그러나 이는 학계의 절대적 합의에 따른 분류 체계가 아니며, 이를 둘러싸고 analysis(분석) 주의, 절충주의, 종합주의 등으로 나뉘어 논의가 이뤄져 왔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명확한 인식이 있어야만 이 중 어떤 유형을 따를지를 결정하거나, 우리말에 보다 적합한 체계를 갖춘 새로운 理論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주시경의 특징은 오래전부터 우리말 표기에 사용된 토(吐)를 품사라는 문법범주로 간주했다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조사와 어미를 모두 포괄한 옛말의 토처럼 조사와 어미에 동등한 품사적 지위를 부여했을 것으로 보인다(시정곤, 1998 272). a. 철수가 영희를 좋아한다. 반면 최현배 등에서는 조사가 어미에 비해 상대적 자립성이 있음에 착안하여 어미는 품사에 넣지 않고, 조사만을 품사에 넣는 절충주의를 주장했다. 각각의 opinion들은 조사와 어미의 분리성, 기능성, 의미적 자질 등을 근거로 하여 독립된 품사로 인정할지 말지에 따라 다른 理論으로 나타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