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의 장르 연구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6 21:23
본문
Download : 국문학의 장르 연구에 대하여.hwp
1. 서언
2. 장르의 성격
(1) 유사성의 원리
(2) 장르의 생성과 소멸
3. 장르를 나누는 기준
(1) 작품의 매체와 형태의 기준에 의할 때
(2) 재제의 성격의 기준에 의할 때
(3) 창작 목적의 기준에 의할 때
(4) 독자와의 관계 상황의 기준에 의할 때
4. 서양의 장르론
(1) 고전 장르론
(2) 헤겔의 변증법에 의한 3분법 정립
5. 국문학의 장르론
(1) 이병기의 2분설
(2) 장덕순의 3분설
(3) 조윤제의 4분설
(4) 조동일의 4분설
(5) 김동욱, 김기동, 김흥규의 5분설
6. 북한의 장르론
(1) 묘사 방식에 의한 분류
(2) 묘사 대상에 의한 분류
7. 요약 및 결언
참고한 문헌
(2) 장르의 생성과 소멸
웰렉(R. Wellek)과 워렌(A. Warren)은 『문학의 이론(理論)』에서 “문학의 종류(장르)란 일종의 ‘제도’이다. 제도가 항상 인간의 삶을 보이거나 보이지 않게 체계화 하고 규범화 하듯이, 문학의 장르 역시 작가를 규제하면서 또한 작가에 의해 규제되어 가는 틀이다.
② 산문 : 흔히 일상적 생활어로 의미 내용을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줄글로 된 글로 나타난다.
국문학의갈래-
순서
국문학의 장르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서구에서 근대시 운동이 전개되면서 대부분의 시인들이 정형시를 버리고 자유시를 택하여 자유시가 주류를 이루게 된 것이 어떤 강제와 협박 때문은 아니었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이다. 물론 작가에 의한 장르의 생성과 소멸은 그것을 주창하는 뛰어난 개인을 필요로 하는 것이 사실이다.국문학의갈래- , 국문학의 장르 연구에 대하여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국문학의 장르 연구에 대하여.hwp( 87 )
국문학의 장르 연구에 대한 글입니다.
또한, 작품의 전달 매체에 따라 이렇게 나눌 수도 있다
① 구전 문학 : 문자로 정…(투비컨티뉴드 )
국문학의 장르 연구에 대하여
레포트/인문사회
다.
(1) 작품의 매체와 형태의 기준에 의할 때
① 운문 : 함축적 언어. 리듬을 지니면서 대부분 행과 연을 지닌 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나 그것은 한 사람에 의해서만 가능한 것은 아닐것이다.
3. 장르를 나누는 기준
댄지거(M. K. Danziger)와 존슨(W. S. Johnson)은 저서인『An Introduction to Literary Criticism』에서 일반적으로 장르를 나누는 기준을 다음과 같이 들고 있다
ㄱ. 작품의 매체와 형태
ㄴ. 제재의 성격
ㄷ. 창작 목적(창작에 대한 작가의 태도)
ㄹ. 독자와의 관계
댄지거와 존슨이 제시한 분류 기준에 따라 문학의 장르를 구분할 때 다음과 같은 분류가 가능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리고 이 틀은 문학작품 창작가들의 일반적인 관습의 변천에 따라 부단히 변모하면서 문학적 관습을 바꿔가고 있는 것이다.
장르가 문학적 제도라는 웰렉과 워렌의 말은 장르의 생성과 소멸이 작가에 의해서 가능하다는 점을 밝힌 것이다. . 그런 움직임에 공감한 많은 작가들이 동참과 추종이 필요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