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팅을 통해 일어나고 있는 언어 파괴 현상 分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9 19:20
본문
Download : 채팅을 통해 일어나고 있는 언어 파괴 현상 분석.hwp
자음 첨가에는 ‘ㄴ’,‘ㄹ’,‘ㅁ’,‘ㅂ’,‘ㅅ’,‘ㅇ’첨가가 있는데, 이 중에서 ‘ㅇ’첨가가 특히 많이 일어난다. 예문 (예15)도 불필요한 모음을 추가함으로써 장난끼 있게, 가볍게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첨가는 모음 첨가와 자음 첨가로 나눌 수 있는데, 모음 첨가는 주로 반모음 ‘w`첨가가 대부분이다. 더욱이 N세대들의 즉각적이고, 분화된 다양한 감정 표현의 성격이 반영되어 많이 일어난다.
채팅을 통해 일어나고 있는 언어 파괴 현상 分析
,경영경제,레포트
대화방언어를 국어학적인 다양한 층위에서 분석하여 범사회적으로 대화방언어에 관한 심각성에 대하여 역설한 리포트 입니다. 음운의 첨가는 언어의 경제성이나 타자의 수고를 덜어 내는 것에는 반하는 것이지만, 자신의 의사표현을 재미있게, 가볍고 애교있게 표현하는 데 effect적이다. 이것은 실제 발화 상황을 그대로 문자로써 재현하려는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
라. 첨가
채팅에서 첨가 현상은 매우 빈번하게 일어난다.
2) 자음 첨가
(예16) 맞나 보당(맞나 보다), 살고 있징(살고 있지), 오셨네용(오셨네요), 같은뎅(같은데), 됐징?(됐지?), 가야겠당(가야겠다), 나갈래용(나갈래요), 엄는뎅..(없는데..), 봤지롱(봤지), 해줄깡(해줄까), 먹어야징(먹어야지), 친구라닝(친구라니), 고마워용(고마와요), 알죵(알죠), 길쿠나앙(그렇구나), 누구징?(누구지?), 잠수했넹(잠수했네), 시른뎅(싫은데), 우왕(우와)
(예17) 그러남?(그러나?), 봤남?(봤나?), 아닌감?(아닌가?), 그런감..(그런가..)…(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채팅을 통해 일어나고 있는 언어 파괴 현상 분석.hwp( 38 )






순서
채팅통신언어을통해
레포트/경영경제
설명
다.채팅통신언어을통해 , 채팅을 통해 일어나고 있는 언어 파괴 현상 분석경영경제레포트 ,
대화방언어를 국어학적인 다양한 층위에서 分析하여 범사회적으로 대화방언어에 관한 심각성에 대하여 역설한 리포트 입니다.
1) 모음 첨가
(예14) 알쥐(알지), 안 되쥐(안 되지), 하쥐(하지), 오쥐(오지), 그러쥐(그러지), 하뉘(하니), 없쥐만(없지만), 미안하쥐(미안하지), 현쥐니(현진이), 안 써야쥐(안 써야지), 있쥐여(있지요), 만나쥐여(만나지요), 있쥐(있지)
(예15) 그러자아(그러자), 간다이~(간다)
(예14)는 모음 ‘l`에 반모음 ’w`가 첨가되어 ‘ㅟ’로 된 형태이다. 즉, N세대들이 재미있고 애교있는 어투를 문자상으로 표현하기 위해 반모음 ‘w`를 첨가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