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현대국어 연구 자료(資料) / 현대국어 ‘ 치 ’의 기능 연구 송 창 선 Ⅰ. 문제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02:17
본문
Download : 현대국어 연구자료.hwp
(1) 가) 뛰치다(뛰다), 부딪치다(부딪다) 나) 망치다(망하다), 해치다(해하다) 다) 다닥치다(다닥뜨리다), 부닥치다(부닥뜨리다) 라) 까무러치다, 떨어치다 (1)가)는 지금까지 ‘강세접미사’로 다루어 온 전형적인 예인데, 동사 어근 ‘뛰-, 부딪-’에 ‘-치-’가 결합된 것이다. 즉 ‘-치-’의 분포와 그 의미를 전반적으로 검토해 보면, ‘-치-’를 이처럼 단순히 ‘강세접미사’로 묶을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치-’를 강세접미사로 규정한 것이나 어휘적 파생법으로 다룬 것은 일부 어휘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치-’의 전반적인 모습을 파악한 것으로 보기 어렵다. 즉 ‘망하다’와 ‘망치다’를 비교해 보면 ‘-하다’에 대한 교체형으로 ‘-치다’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또한 다)에서도 어근으로 보기 어려운 ‘다닥, 부닥’에 ‘-치-’가 결합되었으며, 라)에서는 ‘까무러치다, 떨어치다’에서 보는 것처럼 ‘-치-’가 연결...





현대국어 ‘-치-’의 기능 연구 송 창 선 Ⅰ. 문제의 제기 최현배(19...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인문사회 현대국어 연구 자료 / 현대국어 ‘ 치 ’의 기능 연구 송 창 선 Ⅰ. 문제의
현대국어 ‘-치-’의 기능 연구 송 창 선 Ⅰ. 문제의 제기 최현배(19...
[인문사회] 현대국어 연구 자료(資料) / 현대국어 ‘ 치 ’의 기능 연구 송 창 선 Ⅰ. 문제의
다.
설명
Download : 현대국어 연구자료.hwp( 75 )
순서
현대국어 ‘-치-’의 기능 연구 송 창 선 Ⅰ. 문제의 제기 최현배(1937 1980:361∼363)에서는 ‘-치-’를 ‘-뜨리-’와 함께 힘줌 도움줄기(강세 보조어간)로 다루었는데, 그 후에도 대부분의 문법서에서는 이를 강세 접미사로 다루어 왔다. 한편, 남기심·고영근(1996:202)에서는 ‘밀치다, 넘치다, 감치다, 걸치다, 놓치다, 덮치다’ 등의 동사에 ‘-치-’가 붙어서 다른 의미의 동사가 되었으므로 어휘적 파생법에 의한 동사의 파생으로 다루고 있다. 그렇지만 나)의 ‘망치다, 해치다’의 경우에는 가)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하여 김계곤(1996:189)에서도 ‘-치-’를 ‘힘줌말’로 다루었으며, 한글학회의 우리말 큰사전 에서는 ‘-치-’에 대해 “움직씨 줄기에 붙어, 그 동작의 힘줌을 나타냄.”이라고 풀이하였다.